본문 바로가기

안드로이드

(4)
넥서스원 안드로이드 2.3.3 (진저브레드) 업그레이드 문제점 2.3.3 으로 업그레이드가 되자마자 유튜브 및 음성 스트리밍 등의 서비스에서 문제점이 나타났다. 필자의 넥서스원의 경우는 동영상 스트리밍은 2분 59초, 3분, 3분1초등의 시간동안 스트리밍 시청 후 스트리밍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고 음성의 경우는 10분 정도 청취 후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처음에는 망의 헨드오버 문제인줄 알았는데 여러 지역에서 테스트 해본 결과 망문제는 아니었다. 구글 개발자들이 2.3.3에다가 무슨 짓(?)을 했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다른 폰들은 업그레이드후 어떤지 확인도 할겸 인터넷 서핑을 좀 해보니 넥서스 폰들은 필자와 동일한 문제들을 가지고 있었고 구글이 어떤 부분들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했는지는 명확하게 찾을 수 없었다. 단지 2.3.4가 곧 업데이트 되고 넥서스원의 경..
구글 넥서스 원 출시와 그 의미 구글에서 출시한 넥서스원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스마트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그림의 떡이다. 이유는 우리나라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정책에 기인한다. 일반적 GSM 망운영 관행과는 다르게 현재 우리나라 이통사업자들의 망시스템은 USIM만 있으면 제조사나 특정 단말에 상관없이 자신이 원하는 단말에 USIM을 꼽고 사용할 수 있는 망시스템이 아니다. 물론 이글이 포스팅되고 나서 구글 폰이 잘팔리고 이통 사업자 자신들의 수익에 '엄청난 기여가 있을것이다'라고 예견이 된다면 혹시 망을 개방할지도 모르지만 거의 불가능한 생각이고 망을 개방하기 보다는 자신들의 망에 맞게, 지금까지 그래 왔듯이, 수정된 구글폰으로 출시될 가능성이 높다. 각 이통사에 특화된 구글폰으로라도 출시가 된다면, 될런지 안될런지는 구글폰..
모바일 오픈 플랫폼 APP 개발자의 한숨 모바일 소프트웨어의 플랫폼화 및 개인 개발자들의 APP 개발 및 판매가 세계적으로 보편화 되고 있으며 시장도 점점 커지고 있다. APP를 개발하고 판매할 수 있는 오픈 마켓 시장이 점점 그 세를 넓히고 있는 것이다. 애플이나 구글, 삼성, 노키아 등은 비 통신사 입장에서 시장에 참여하고 있고 구글을 제외한 이들은 하드웨어 제조도 같이 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는 SK가 자체 플랫폼 및 마켓을 만들어서 2009년 9월에 시장에 참여하려고 하고 있다. 필자는 개인 개발자 입장이며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기반하여 APP를 개발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자체에서 개발 플랫폼을 시뮬레이터 형태로 제공하므로 초기 개발에는 문제가 없다. 하지만 국내 통신사 용으로 출시된 폰 중 안드로이드가 올라간 스마트폰이 아직까지 없다. ..
구글 안드로이드 소스 공개 구글의 안드로이드 소스가 공개되었다. 구글폰, T-Mobile G1이 공식적으로 출시되기 하루전에 안드로이드 소스를 공개한 것이다. 오픈소스 형태로 공개되었는데 다운 받아서 들여다 봐야 겠다. 여담이지만 예전 안드로이드 마스코트는 정상적으로(?) 생겼었는데 소스를 오픈하자 구글이 머리 윗부분을 열어버렸다. 구글의 재치가 느껴진다. 관련 내용은 아래링크 참조. http://android-developers.blogspot.com/2008/10/android-is-now-open-source.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