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MA (2) 썸네일형 리스트형 Mobile WiMAX와 비교한 LTE의 가능성 Mobile WiMAX, LTE 4G를 이끌어갈 대표적인 프로토콜 들이다. 퀄컴의 UMB도 하나의 프로토콜로서 경쟁구도를 가지고 갔으나 사업성의 한계를 느낀 것인지 LTE로 방향을 선회했다. 양자 경쟁 구도 속에서 '선 상용화의 이점이냐 기존 프로토콜과의 연속성이냐'의 관점에서 두 프로토콜이 경쟁하고 있다. 각 프로토콜들의 상세 스팩은 대동소이하다. 기본이 되는 고속 데이터 통신을 위한 변조 방식으로 두프로토콜 다 다운링크는 OFDMA 사용하고 업링크만 Mobile WiMAX는 OFDMA를 LTE는 SC-FDMA를 사용하여 차이가 있으나 업링크 역시 FDMA를 사용하는 면에서도 동일하다. 두 프로토콜의 변조 프레임 구조를 보면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각 프로토콜의 속도 성능 면에서도 4G프로토콜로서.. CDMA vs WCDMA vs Mobile WiMAX 스펙 특성 비교 항목별로 각 프로토콜을 잘 비교한 테이블이라 생각되어 WIMAX 포럼 문서(Mobile WiMAX Part II: A Comparative Analysis)에서 발췌 했습니다. 한국의 대표주자인 WiBro/Mobile WiMAX가 선전해서 가장 많이 쓰이는 프로토콜이 되었으면 합니다. LTE라는 강력한 경쟁자가 있어서 전망은 불투명하지만 전체 포지션이 아닌 부분만 점유를 해도 큰 성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전 1 다음